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93

[프로그래밍] 상수(Constant)와 리터럴(literal) 차이 S/W 프로그래머는 코드에서 다양한 데이터 유형(Type)을 사용합니다. 리터럴(literal)은 그 자체로 표현되는 데이터 값입니다. 상수(Constant)는 '값을 저장하는 공간'이라는 뜻이며,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. 상수(Constant) & 리터럴(Literal) 상수와 리터럴에 대해 예시로 알아보겠습니다. 상수(Constant) C언어에서 상수(Constant)를 정의하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#define 전처리기를 사용 const 키워드를 사용 #include #define PI 3.1415926536 int main(void) { /* Local Definitions */ const double pi = PI 3.1415926536; printf("#def.. 2023. 2. 25.
[Git] git add, commit, push 등 순서 정리 Github에 소스코드 수정 시, 수정된 소스코드를 반영하기 위해 git bash(터미널)에서 git 커밋 작업 순서! 중요! 명령어 요약 git init : "git init" 을 하면 .git 디렉토리가 생성되는데, 새로운 git 저장소(Repository)를 생성합니다. git status : 작업 디렉토리와 스테이징 영역의 상태를 표시하며 git 프로젝트의 파일 상태를 확인합니다. git add : 작업 디렉토리(Working directory)에서 코드를 수정, 변경, 삭제한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에 추가합니다. (add로 추가한 파일들은 staging 영역에 관리되는데 이 영역 또한 .git에서 관리된다.) git commit : 저장소에 특정 시점의 파일 및 폴더의 변.. 2023. 2. 24.
[Kubernetes] 쿠버네티스 실습 예제 #1 Task 1. - Pod_run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한다. - Pod_run 네임스페이스에서 nginx 2.3.5의 이미지로 pod1이라는 pod를 생성한다. 그리고 포트 80을 노출 - pod가 running하고 있는지 확인한다. - 파드의 IP주소 검색한다. - 이미지 busybox를 사용하여 임시 포드를 실행하고 여기에 쉘을 넣은 다음 Pod1에 대해 wget을 실행합니다. - Pod1의 로그를 본다 - 네임스페이스와 Pod1을 삭제한다. kubectl create -n Pod_run kubectl run pod1 --image=nginx --port 80 --dry-run=client -o yaml > q1.yaml # --dry-run 은 실제로 생성되지 않고 미리 볼 수 있음. (쿠버 클러스터에.. 2023. 2. 23.
[Docker] 도커 컨테이너 명령어(커맨드) 정리 도커 컨테이너 주요 명령어 대표적으로 많이 쓰이는 컨테이너 명령이 입니다. [도커 공식문서 참조] docs.docker.com/engine/reference/run/ Docker run reference docs.docker.com 1. 도커 이미지 다운로드 - pull docker pull ubuntu:20.04 2. 컨테이너 생성 & 실행 - run sudo docker container run -d -p 80:80 --name apache httpd:latest 3. 컨테이너 중지 - stop sudo docker container stop apache 4. 컨테이너 시작 - start sudo docker container start apache 5. 컨테이너 재시작 - restart sudo d.. 2023. 2. 22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