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작업관리 툴(Tool)

[Git] git add, commit, push 등 순서 정리

by virusuk 2023. 2. 24.
반응형

Github에 소스코드 수정 시, 수정된 소스코드를 반영하기 위해 git bash(터미널)에서 git 커밋 작업 순서!

 

중요! 명령어 요약

git init : "git init" 을 하면 .git 디렉토리가 생성되는데, 새로운 git 저장소(Repository)를 생성합니다.

 

git status : 작업 디렉토리와 스테이징 영역의 상태를 표시하며 git 프로젝트의 파일 상태를 확인합니다.

 

git add : 작업 디렉토리(Working directory)에서 코드를 수정, 변경, 삭제한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에 추가합니다. (add로 추가한 파일들은 staging 영역에 관리되는데 이 영역 또한 .git에서 관리된다.)

 

git commit : 저장소에 특정 시점의 파일 및 폴더의 변경 사항에 대해 기록합니다. (로컬 저장소(Local Repository)의 ".git" 디렉토리 안의 데이터와 해시를 담고 있는 파일들이 수정된다.)

git commit -m "메시지를 남길 수도 있습니다.

  • -m 옵션은 메시지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.

 

git push : 로컬 저장소에에서 원격저장소로 작업 내용을 반영하기 위해 commit을 전송합니다.

 

[용어]

작업 디렉토리(Working directory) : 내 컴퓨터 로컬 환경

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 : 

로컬 저장소(Local Repository) : 개인 컴퓨터에서 작업 파일 및 폴더가 저장되는 개인 저장소이다.

원격 저장소(Remote Repository) : 작업 파일 및 폴더는 원격 저장소 전용 서버에 관리되면서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는 저장소이다.

 

Git 커밋 작업 순서

1. git status

 

2. git add

 

3. git commit -s -m "updated.md"

 

4. git push

 

 

Squash 하기

1. git rebase -i HEAD~<커밋수>

 

2. 콘솔(Console)창에서 squash 또는 pick으로 조정

- squash 기준은 PR한 github의 commit에서 Original 커밋을 제외한 나머지 squash로 수정

 

3. git push --force-with-lease origin <브랜치명>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