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93 [Linux] 리눅스 우분투 ls 명령어 (디렉토리 내용 확인) Linux ls 명령어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령 중 하나입니다.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 목록을 표시하는데 사용됩니다. ls 사용법 $ ls [] [] $ ls [] [] 옵션 Options Description ls -a '.'로 시작하는 숨겨진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을 출력함. ls -B, --ignore-backups 파일의 끝에 "~" 인 백업파일은 출력하지 않음. ls -d ' */'. 포함한 디렉토리 목록을 출력함. ls -l 파일의 형식, 사용권한, 소유자, 소유그룹, 크기, 시간, 이름을 포함한 목록을 출력함. ls -lh 사람이 쉽게 읽을 수 있는 형식(예,KB)으로 파일 크기를 보여줌. ls -r 역순으로 나열하여 출력함. ls -i 파일의 inode(인덱스) .. 2023. 2. 19. [Linux] 리눅스 우분투 find 명령어 (디렉토리 및 파일 검색) Linux find 명령어는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가장 중요하고 자주 사용되는 커맨드라인 유틸리티 중 하나입니다. find 명령어는 인수와 일치하는 파일에 대하여, 지정하는 조건에 따라 파일 및 디렉토리 목록을 검색하고 찾는데 사용됩니다. find 사용법 $ find [OPTIONS] [PATH...] [EXPRESSION] $ find [옵션] [경로...] [표현식] ● [OPTIONS] : 필터링 기준을 정의합니다, 파일/디렉토리의 이름, 권한, 시간 또는 날짜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. ● [PATH...] : 검색을 시작할 디렉토리를 정의합니다. ● [EXPRESSION] : 파일로 수행할 작업을 정의합니다. 옵션 검색 파라미터 설명 -name, -iname 파일 이름 필터링 -maxdepth.. 2023. 2. 19. [Python]파이썬 - 계단오르기 (DP: 메모이제이션 방식) Python : 계단오르기 문제 Dynamic Programming(동적 계획법) 기반 메모이제이션 방식 사용 리트코드 문제 - https://leetcode.com/problems/climbing-stairs/ def climb_stairs(n): dp = collections.defaultdict(int) if n 2023. 2. 16. [Python]파이썬 - 피보나치 수열 (DP: 메모이제이션 방식) Python : 피보나치 수열(기초) 문제 Dynamic Programming(동적 계획법) 기반 메모이제이션 방식 사용 def fibo_num(N): dp_val = collections.defaultdict(int) if N 2023. 2. 16. 이전 1 ··· 18 19 20 21 22 23 24 다음 반응형